[Jenkins]Jenkins 사용법(Jenkins정의 및 우분투에서 Jenkins 설치하기)

Jenkins정의 및 우분투 환경에서 Jenkins 설치하기.

Imagem de capa

젠킨스(Jenkins)

란 Open Source Ci(Continuous Integration) Tool로써 팀의 구성원들이 작업한 내용을 정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는 ‘허드슨’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있었지만 2010년 오라클과의 상표권 문제로 인해 Jenkins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Jenkins 홈페이지 : https://jenkins.io/

CI(Continuous Integration)

는 팀의 구성원들이 작업한 내용을 정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프로젝트를 리드하는 매니저가 일을 여러가지로 나눠서 팀원들에게 분배하고 각자 개발한 부분을 Git이나 SVN을 통해서 Submit된 코드들을 정기적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Jenkins가 제공하는 기능


Jenkins를 사용하는 이유?


형상관리 Tool(Github)과의 연동

젠킨스 이전에는 일정 시간마다 빌드를 실행하는 nightly-build(주로 심야 시간대에 타이머에 의해 진행된 빌드)를 주로 하곤하였다. 젠킨스는 정기적인 빌드에서 더 나아가 Git과 같은 형상관리 Tool과 연동함으로써 소스의 Commit을 감지하면 자동적으로 자동홭 ㅔ스트가 포함된 빌드가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Commit 횟수만큼 빌드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Queueing 되어 자신의 실행순서를 기다린다.

자동화된 빌드가 가져다 주는 이점


그러면 젠킨스 설치 및 환경설정을 해보자.

1) 젠킨스 설치 명령어 sudo wget -q -O - http://pkg.jenkins-ci.org/debian/jenkins-ci.org.key | sudo apt-key add -

sudo sh -c 'echo deb http://pkg.jenkins-ci.org/debian binary/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 jenkins


2) 젠킨스 포트 변경 apt-get으로 설치하게 되면 jenkins 계정이 생성된다. 젠킨스 홈 디렉토리는 /var/lib/jenkins이다. 젠킨스는 내부적으로 톰캣을 서버로 사용하므로 설치 후 시작하면 톰캣 기본포트인 8080을 사용하며 시작된다. 젠킨스를 톰캣과 구동하기 위해선 기본포트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젠킨스의 기본 설정파일은 /etc/default/jenkins이다. 포트를 변경한 후 sudo service jenkins restart 명령어로 재시작하면 적용된다.(참고로 젠킨스의 로그파일은 /var/log/jenkins/jenkins.log 이다)


3)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젠킨스 접속 : http://(서버ip):(포트)

첫번째이미지

위와 같이 초기 비밀번호 입력 창이 뜨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 뒤, 나온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4) 필요한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아직 어떤 플러그인이 필요한지 정확히 모르니 Install suggested plugins를 선택한다. 두번째이미지 세번째이미지


5) admin 정보를 입력한다. 네번째이미지


6) 설치가 끝나면 jenkins 대쉬보드로 넘어간다 네번째이미지


*출처 :